You are on page 1of 7

New Physics: Sae Mulli,

Vol. 69, No. 1, January 2019, pp. 51∼57


http://dx.doi.org/10.3938/NPSM.69.51

Developing the Method of Inferring Camera Angle for Paintings and Photos
from the Analysis of Vanishing Points

Youngseok Jhu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06639, Korea

(Received 22 October 2018 : revised 30 November 2018 : accepted 10 December 2018)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introduce perspective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vision and of light propagation in a straight line. In
this study, a method was developed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eyes of a painter or a camera
angle by analyzing the vanishing points of a painting or a photograph. The developed method
was verified through calcula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rough analyses of the photos. In
addition, the landscape painting of Canaletto, who is said to have worked using a kind of pinhole
camera called a camera obscura, was analyzed by using the developed method. In the analysis,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device that the painter had installed could be deduced.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perspectiv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o teach the basic
concepts of optics.

PACS numbers: 01.40.-d, 42.15.-i


Keywords: Geometrical optics, Perspectives, Light propagation in a straight line, Camera obscura, Camera
angle

소실점을 이용한 카메라 앵글 추정 방법의 도출 및 르네상스 그림에의 적용

전영석∗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서울 06639, 대한민국

(2018년 10월 22일 받음, 2018년 11월 30일 수정본 받음, 2018년 12월 10일 게재 확정)

빛의 직진과 보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원근법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이나 그림의 소실점을 분석함으로써 화가나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다양한 조건에서의 계산을 통해, 또한 직접 촬영한 사진
분석을 통해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메라 옵스큐라라고 하는, 일종의 바늘구멍 사진기를 이용하여
풍경화를 제작한 카날레토의 그림을 분석함으로써 화가가 장치를 설치한 위치와 시선 방향을 추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중등 학교 광학의 기초 학습 과정에서 원근법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ACS numbers: 01.40.-d, 42.15.-i


Keywords: 기하광학, 원근법, 빛의 직진, 카메라옵스큐라, 카메라 앵글

∗ E-mail: jhunys@snue.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52 New Physics: Sae Mulli, Vol. 69, No. 1, January 2019

I. 서 론

우리가 인식하는 물체의 크기는 관찰자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며, 빛의 직진을 이용하여 그 과정
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부르넬레스키를 비롯한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들은 이 규칙성을 파악하여 그림에
적용함으로써 회화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
원근법은 광학의 기본 개념과 잘 연결되어 있다. 원근법
을 탐구함으로써 ‘빛의 직진’ 및 ‘보는 과정’ 에 대한 개념의
학습에 유용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보는 과정’ 은
우리의 직관과 위배되는 면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 심지어 물리 교사의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착각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3]. 빛의 직진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그림자 현상을 학습의 Fig. 1. A perspective projection. The viewer was re-
drawn.
소재로 활용하고 있으며, 세계의 많은 과학관에도 광원과
물체,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림자의 크기가 달라
지는 현상을 체험함으로써 그 규칙성을 자연스럽게 파악 II. 원근법의 기하학적 원리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림자 현상에 대한 관찰과 함께 원근
법을 광학의 기초 개념을 익히는 학습 소재로 개발한다면 1. 원근법 그림에서 상의 형성
빛의 직진과 관련된 기하학적인 공간 개념을 익히고 눈이
외부의 빛 신호를 수용하는 수동적인 기관이라는 것을 깊이 원근법의 원리를 최초로 표현했다고 알려지는 알베르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세계를 탐구하여 이해하는 티는 Fig. 1과 같은 방법으로 원근법의 원리를 설명하고
인간의 관점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소재가 있다 [1]. 이 설명에 의하면 관찰자의 앞에 그림면 (picture
될 수 있다. 원근법의 발달과 쇠퇴하는 과정이 유클리드 plane) 이라고 하는, 가상의 평면이 있고, 이 그림면 넘어
기하학에 바탕을 둔 뉴턴 역학과 매우 놀라운 유사성을 보 세상을 볼 때, 그림면에 투영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 원근법
이기 때문이다 [4]. 아울러 물리학과 수학, 미술이 어떻게 그림이라는 것이다. 즉, 물체의 한 점에서 출발하여 눈으로
융합되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적 탐구 방법의 유용 입사하는 광선이 가상의 면과 만나는 점이 원근법 그림에서
성을 깨닫고, 물리학자와 화가가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물체의 점으로 표현된다. 이 때 그림면은 렌즈 중심에 대하
표현하는지를 알아볼 수 있으므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여 망막 또는 카메라의 필름과 점대칭이며, 관찰자의 시선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방향 (광축) 과 수직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근법을 활용한 광학 교육 자료를 개발하 Gallagher등의 연구 [6–8]에서는 실제 물체의 모습과 그
기 위한 첫 단계로 기하 광학의 기본 원리가 원근법 그림에 림면에 생기는 상의 관계를 밝히고 있으나, 물체의 좌표계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탐구하고, 특히 그림을 통해 찾을 수 관찰자의 시선에 따라 연동되기 때문에 계산 과정은 간단하
있는 소실점을 이용하여 화가의 시점을 역으로 찾는 방법을 지만 실체 물체와 상의 관계를 파악하기에 다소 부족함이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원근법이 적용된 그림을 분석하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이나 그림의 결과를 통해 관찰자의

화가의 시점을 찾고, 원근법을 적용하기 위한 화가의 노력을 시선을 추적해야 하므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물체와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그림은 카메라 옵스큐라라고 상의 관계를 구하는 계산식을 도출하였다.
Fig. 2와 같이 관찰자의 시선 방향 단위 벡터를 시선 벡터
하는, 일종의 바늘구멍 사진기를 사용하여 베니스의 풍경을

E 로 정의하였을 때, 관찰자가 y 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면
그렸다고 전해지는 카날레토의 “산 마르코 광장” 이며 실제
식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진으로 찍은 사진과 비교하여 원근법이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카날레토는 “산마르코 ⃗ = (0, 1, 0)
E (1)
광장” 을 주제로 한 그림을 여러 장 그렸는데, 본 연구에서는
Fogg Museum (Harvard Art Museums) 이 소장하고 있는 관찰자가 시선을 돌렸을 때, 시선 벡터는 x 축에 대하여 θ
그림을 분석하였다 [5]. 회전한 다음, 변환한 z ∗ 축에 대하여 ψ 만큼 회전한 것으로
Developing the Method of Inferring Camera Angle for Paintings and Photos from · · · – Youngseok Jhun 53

Fig. 2. Eye vector: parallel to y axis.

⃗ 1 , e2 , e3 ) 는 식
둘 수 있다 (Fig. 3). 이 경우, 시선 벡터 E(e
(2) 와 같다.
     
e1 cos ψ − sin ψ 0 1 0 0 0
 e2  =  sin ψ cos ψ 0   0 cos θ − sin θ   1 
e3 0 0 1 0 sin θ cos θ 0
 
− cos θ sin ψ
=  cos θ cos ψ  (2)
sin θ

관찰자가 원점에 서있고 눈높이를 h 라고 하면 관찰자의 위


치 O 의 좌표는 O(0, 0, h)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관찰자가
y 축과 나란한 방향을 보고 있을 때 그림면까지의 거리를 b Fig. 3. (a) Rotate θ about x axis and (b) rotate ψ about
z ′ axis.
로 둔다면 관찰자의 시선 변화에 따라 그림면도 점 B(0, b, 0)
를 받침점 (pivot point) 으로 하여 회전한다고 볼 수 있다.
있다.
또한 시선벡터와 그림면은 항상 수직이므로 점 B 에 대한
그림면 위의 점 P (x, y, z) 의 위치 벡터 ⃗r = (x, y − b, z) 와 e2 b − e3 h
x = m n
⃗ 1 , e2 , e3 ) 의 내적이 0이다. 따라서 식 (3) 과
시선벡터 E(e e1 + e2 + e3
l l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 e2 b − e3 h
y = x=
l l n
e1 + e2 + e3
⃗r · E
⃗ = 0 = e1 x + e2 (y − b) + e3 z = 0 (3) m m
n e2 b − e3 h
z = h+ x=h+ (5)
l l m
한편 물체를 이루는 점 (xi , yi , zi ) 에서 출발하여 관찰자의 e1 + e2 + e3
n n
눈 O(0, 0, h) 까지 도달하는 광선의 방정식은 식 (4) 와 같다.
그러나 이 값은 관찰자의 관점에서 구한 좌표이므로 그림
면 위의 좌표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의
x y z−h 좌표(x, y, z) 를 y 축 방향으로 b 만큼 평행이동한 다음, z
= = , l = xi , m = yi , n = zi − h (4)
l m n
축을 기준으로 ψ 만큼 회전하여 (x′ , y ′ , z ′ ) 점을 구하고, 이
또한 광선과 그림면의 교점이 상이 생기는 위치이므로, 식 좌표계에서 x∗ 축을 기준으로 θ 만큼 회전하여 (x′′ , y ′′ , z ′′ )
(3) 과 (4) 를 연립하여 상의 위치를 식 (5) 와 같이 구할 수 점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연히 y ′′ 값은 0이 되며 이를
54 New Physics: Sae Mulli, Vol. 69, No. 1, January 2019

Fig. 4. If the edges of the observed building are parallel


to the axises of the reference frame, the intersections of
axises and picture plane are vanishing points.

Fig. 5. If the edges of the observed building are rotated to


the axises of the reference frame, lines from the observer, Fig. 6. (a) Horizontal vanishing points when eyevector
parallel to the edges of the building meet picture plane rotates in amount of ψ about z axis and (b) vertical
at u′ and v ′ . These are vanishing points. vanishing point when eyevector rotates in amount of θ
about x′ axis.

계산결과를 점검하는 준거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점이다. Fig. 4에서 qc 와 q5 점이 무한이 멀어졌을 때 각
 ′   
x cos ψ sin ψ 0 x 점에서 눈까지 이은 직선이 그림면과 만나는 점이 소실점이
 y ′  =  − sin ψ cos ψ 0   y − b 
며, 직육면체 모양의 건물의 모서리가 기준 좌표계의 좌표
z′ 0 0 1 z
  축과 나란하다면 원점에 있는 관찰자가 볼 때의 소실점은
x cos ψ + (y − b) sin ψ
각 좌표축이 그림면과 만나는 점이다.
=  −x sin ψ + (y − b) cos ψ  (6)
z 만일 관찰자의 시선이 y 축과 나란하면 y 축과 나란한 면의
 ′′    ′  소실점은 u 가 되고, x 축과 나란한 면의 소실점은 존재하지
x 1 0 0 x
 y ′′  =  0 cos θ sin θ   y ′  않는다. 관찰자의 시선이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여 그
z ′′ 0 − sin θ cos θ z′ 림면과 x 축의 교점이 생기는 경우에는 u 와 v 가 소실점이
 
x′ 된다. 여기서 시선을 약간 위로 돌린다면 연직방향으로도
=  y cos θ + z ′ sin θ 

(7) 소실점이 생긴다.
−y ′ sin θ + z ′ cos θ
또 Fig. 5와 같이 건물의 모서리가 좌표축과 나란하지
않으면 원점으로부터 출발한, 각 모서리와 나란한 직선이
그림면과 만나는 점 u′ 과 v ′ 이 소실점이다. 이 원리를 이용
2. 소실점의 광학적 원리 하면 그림이나 사진의 소실점을 통해 시선방향을 찾을 수
있다.
소실점은 물체면을 무한히 연장하였을 때 연장하는 방 Fig. 6는 y 축과 나란한 시선벡터가 x− y 평면에서 반시계
향으로 평행한 물체의 두 경계선이 만나는 것처럼 보이는 방향으로 ψ 만큼 회전한 다음, 위쪽으로 θ 만큼 회전하였을
Developing the Method of Inferring Camera Angle for Paintings and Photos from · · · – Youngseok Jhun 55

Fig. 9. (Color online) Angle of camera (eye vector) is


normal to the wall of the building.
Fig. 7. Obser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ilding.
의 정 중앙이 시선벡터의 방향이자 광축 방향이다. 따라서
연직 방향으로의 소실점이 생기지 않는 경우, 수평 방향으
로의 두 소실점을 잇는 직선은 사진의 중앙을 지난다.
한편, 중심에서 수평방향의 소실점을 잇는 선분에 내린
수선의 발까지의 거리를 s4 라고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s4 √
sin θ = , d= s1 s2 (10)
d
계산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g. 7과 같이 직육면체 모양
의 빌딩을 관찰하는 상황을 설정하여 적용하였다. 가장 가
까운 건물 모서리는 관찰자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5 m, 세로
방향으로 5 m 떨어져 있으며 건물의 길이는 가로 방향으로
15 m, 세로 방향으로 5 m이다. 또한 높이는 10 m이다.
Fig. 8은 원점에 있는 관찰자의 눈높이가 2 m이고 y 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선벡터의 천정거리 (polar angle) θ 가
10◦ 이고 방위각 (azimuth angle) ψ 가 20◦ 인 경우에 대하여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 대하여 s1 ∼ s4 값은 계산을 통해 다음과 같이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θ 와 ψ 를 구하면 각각 10◦ 와 20◦ 를
얻을 수 있어, 유도한 계산식이 옳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1 = 1.62, s2 = 0.214, s3 =3.38, s4 = 0.102
θ 와 ψ 값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얻은 결과를 통해
Fig. 8. Calculation with excel (TM). θ = 10◦ , ψ = 20◦ .
유도한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 시선벡터와 수직인 그림면이 x, y, z 축과 만나 소실점 v,


u, w 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면에서 소실점을 구한 III. 사진에의 적용
다음, u 점과 v 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w 점으로부터 수직선을
그리면 각 소실점으로부터 교점까지의 거리 s1 , s2 , s3 를 본 연구는 사진을 통해 카메라의 앵글 방향을 구하는
구할 수 있다. 방법을 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시선 벡터 방향과 카
x − y 평면과 그림면이 이루는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메라의 앵글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II 장에서 구한
d 라고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방법을 스마트 폰인 삼성 갤럭시노트 5를 이용하여 직접

d s2 2 s2 촬영한 사진에 적용하였다. Fig. 9는 카메라 앵글을 건물
tan ψ = = , d = s1 s2 , tan ψ = (8)
s1 d s1 벽과 수직하게 두고 찍은 사진이다. 사진의 중심으로부터
d √ 좌우 소실점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s1 = 181.95 mm, s2 =
sin θ = , d = s1 s2 (9)
s3 102.31 mm이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θ 와 ψ 를 구하면 θ =
사진의 경우, 특별히 잘라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면 사진 0, ψ = 36.7◦ 를 얻을 수 있다.
56 New Physics: Sae Mulli, Vol. 69, No. 1, January 2019

Fig. 11. (Color online) Vanishing points and center of


picture in Canaletto’s painting: Piazza. s1 = 33.91 mm,
s2 = 23.53 mm, s4 = 29.48 mm.

Fig. 10. (Color online) Angle of camera (eye vector) is Fig. 12. (Color online) Vanishing points and center of
pointing slightly upward. picture in a tourist’s picture. s1 = 27.08 mm, s2 = 30.39
mm, s4 = 36.97 mm.

Fig. 10은 카메라 앵글을 약간 위로 향하여 찍은 사진이다.


이 경우, 연직방향 소실점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두 소실점을
IV. 르네상스 시대의 회화 분석
잇는 직선에 내린 발의 위치에 사진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본 연구에서 방법을 카날레토의 ‘산마르코 광장’ 에 적
직선에 내린 발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용하여 그림을 분석하였다. 카날레토는 베니스의 풍경을
이것은 사용한 사진기의 왜곡 (distortion) 과 관련이 있는
정교하게 그린 것으로 유명하며, 이 점을 이용하여 베니스의
것으로 보인다 [9].
해수면 변화를 측정하기도 하였다 [10]. Fig. 11은 카날레
토의 그림을 분석한 것이고, Fig. 12는 같은 장소를 찍은
• 연직방향 소실점을 기준으로 할 때
사진을 분석한 것이다.
s1 = 194.99 mm, s2 = 70.9 3mm, s3 = 463.61 mm 사진을 찍은 관광객의 카메라 렌즈에 비해 카날레토의
θ = 14.69◦ , ψ = 31.09◦ 바늘구멍사진기 (카메라 옵스큐라) 는 더 높은 곳에 설치되
었고, 좀 더 오른쪽을 향하도록 설치하였으며 위쪽 방향으
• 사진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로 기울어진 각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왼쪽
s1 = 195.76 mm, s2 = 70.16 mm, s3 = 29.03 mm 건물과 오른쪽 건물의 소실점이 다르게 형성되었다는 것
◦ ◦ 으로부터 두 건물이 나란하지 않다는 것을 추리할 수 있고,
θ = 14.34 , ψ = 30.91
Fig. 13과 같은 인공위성 사진을 통해 건물이 이루는 각이
그러나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한 값의 오차를 구하면 θ 는 10.36◦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로부터 천정거리
2.4%, ψ 는 0.6% 로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polar angle) θ 를 구하면 카날레토의 그림은 θ = 5.32◦ 이
있다. 고, 사진은 θ = 6.66◦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Fig. 13
Developing the Method of Inferring Camera Angle for Paintings and Photos from · · · – Youngseok Jhun 57

도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은 원근법에 의해 형성되는 상을


구하는 과정에서 빛의 전파 및 눈이 사물을 보는 과정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얻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원근법 상을 예측하는 계산 방
법은 사진 촬영을 이용한 물체의 운동을 분석하는 실험에서
나타나는 오차의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보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우선 실험 장치를 구성할 때,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촬영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정보
를 보정하여 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Fig. 13. (Color online) Inferring of the location of the
tourist’s camera (right) and Canaletto’s camera obscura
(left). ACKNOWLEDGEMENTS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날레토의 카메라 옵스큐라가 좀 더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2018 Research Fund
먼 곳에 설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V.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본 연구에서는 사진이나 그림의 소실점을 분석하여 사진 [1] K. Andersen, The Geometry of an Art: The History
을 찍은 위치 및 앵글 방향, 또는 그림에서 화가의 시선을 of the Mathematical Theory of Perspective from Al-
아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계산 및 적용을 통해 이 방법이 berti to Monge (Springer, New York, 2007).
정확하게 동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카날 [2] K. W. Park and J. H. Park, New Phys.: Sae Mulli
레토의 그림을 분석해 보면 사진만큼 정교하게 원근법이 62, 677 (2012).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가가 작업한 [3] G. P. Kwon, J. Korean Assoc. Sci. Educ. 35, 871
위치 및 바늘구멍 사진기 (카메라 옵스큐라) 의 앵글 방향을 (2015).
추리할 수 있었다. [4] A. I. Miller, Einstein, Picasso Space, Time, and
본 연구 결과를 초중등학교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Beauty that Causes Havoc (Basic books, New York,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2001).
첫째, 탐구의 유용성을 체험하는 사례로 활용할 수 있다. [5] Piazza San Marco with the Basilica, https://comm
원근법을 개발하고 연구했던 부르넬레스키나 알베르티 [11], ons.wikimedia.org (accessed Oct. 01, 2018).
뒤러 [12]와 같은 화가들이나 부룩 테일러 [11] 등의 원근법 [6] A. C. Gallagher, Pattern Recognit. 35, 1527
탐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발견하는 기쁨을 직접 느끼고, (2002).
실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한 탐구 수행 역량을 기르는 데 [7] J. Huang, Z. Chen and J. Lin, Pattern Recognit.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2, 2029 (1999).
둘째, 인간 인식의 다원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8] K. Kanatani, Y. Sugaya and Y. Kanazawa, Ad-
있을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원근법이 등장했던 배경과 vances i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이후 18세기에 화가의 원근법과 수학자의 원근법이 분리되 (Springer, Cham, Switzerland, 2016).
는 과정 [11], 세잔으로부터 시작하여 피카소와 브라크 등에 [9] LiveREX, https://liverex.net (accessed Oct. 15,
의해 원근법이 배척되는 과정 [4]을 살펴봄으로써 세상을 2018).
보는 인간 인식의 다면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0] D. Camuffo, J. Cult. Herit. 2, 277 (2001).
셋째, 기초 기하광학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 원근법에 [11] E. Cho,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7,
의한 상의 형성과정 및 소실점이 생기는 과정을 작도를 통해 157 (2009)
이해할 수도 있고, 공간 도형을 적용한 대수학적인 계산으로 [12] H. Kim, Cross-Cultural Studies 9(2), 159 (2005)

You might also like